728x90
반응형
SMALL

전체 글 47

사회과학 - 대표적 사회학

카를 마르크스 한 사회의 정신적인 상황이 물질적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그 반대로 물질적인 상황이 정신적인 상황을 결정한다고 생각했다. 마르크스는 특히 한 사회의 경제적인 힘이 다른 모든 분야에 변화를 일으켜 역사를 발전시킨다고 강조했다. 마르크스는 한 사회의 물질적인 삶의 조건이 우리의 생각과 의식을 결정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물질적 삶의 조건의 변화가 역사에 결정적인 작용을 한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마르크스는 헤겔의 철학에서 출발했고 헤겔의 사고방식에서 큰 영향을 받았지만 헤겔이 주장한 세계정신의 관념, 즉 우리가 헤겔의 관념론이라고 부르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 아르놀트 하우저 1978년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사망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예술연구의 방법론 Methoden der Kuns..

사회과학 2024.04.13

사회과학 - 사회학의 연혁3, 대표적 사회학자 오귀스트 콩트

한국의 사회학 한국에 사회학이 소개된 것은 8·15 광복 이전의 일이다. 경성제국대학의 윤리학과의 부 전공으로 처음 사회학과가 설치되었다. 그리고 경성제국대학이 전신이었던 서울대학교에서 1946년 법문학부 안에 사회학과가 설립되었으며, 그 후 1954년 경북대학교에 두 번째로 사회학과가 설치되었다. 음악 사회학 음악 사회학이란 예술 사회학의 한 갈래로써 음악과 사회의 관련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음악을 심미적이나 감성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닌 사회 문화 체계 속에서 만들어진 소리로 이해하는 것이 음악사회학의 성격이다. 음악 사회학이 학문적으로 발전을 이루기 시작한 것은 베버 이후로 여겨진다. 즉, 역사적 시점, 계급에 의해서 음악의 생산, 소비가 이루어진다는 것이 전제되는 것이다. 음악학에 대한 연구는 ..

사회과학 2024.04.13

사회과학 - 사회학의 연혁2

형식사회학 초기의 사회학에 나타나는 백과전서적·종합과학적인 경향에 대한 반동으로서, 19세기 말엽부터 20세기의 20년대에 걸쳐서 독일을 중심으로 특수개별과학으로서의 사회학을 확립하려 하여 생긴 사회학의 한 유파(流波). 지멜을 창시자로 하여 피르칸트(A. Vierkandt), 비제로 이어졌는데, 미국에서도 로스(E. A. Ross)와 같은 학자의 입장이 이에 속한다. 현실의 사회는 내용인 여러 관심과 사회화의 형식인 심적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며, 양자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지만 개념적으로는 구별하여 고찰할 수 있다. 과학이 일면적인 개념적 추상에서 성립하는 한, 기하학이 자연현상인 소재(素材)에는 관계없이 그 형식을 대상으로 삼는 것처럼, 사회학은 사회화(社會化)의 형식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내용을 대상 ..

사회과학 2024.04.13

사회과학 - 사회학의 연혁1

연혁 사회학은 근대사회의 과학적 자각으로서 태어났다. 사회학의 성립에 대하여는 학자에 따라 견해가 갈라져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프랑스의 콩트가 그의 저서 『실증철학강의』(전 6권, 1830-1842)의 제4권에서 비로소 '사회학(sociology)'이란 학문명칭을 사용하고, 의식적으로 이것을 체계화하였을 때에 성립하였다고 생각되고 있다. 그리고 그 동학에 있어서 진화론적인 사회발전의 법칙을 구하려 하였고, 사회개조에의 실천적 의도를 다소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입장은 종합사회학이라 불린다. 이리하여 발족한 사회학은 영국에서는 스펜서에 의하여, 독일에서는 슈타인과 섀플레 (A. Schaffle)에 의하여, 시대는 좀 뒤지나 미국에서는 워드(L. Ward)에 의하여 발전의 초석이 놓였다. 콩트에서 시작하는 ..

사회과학 2024.04.13

사회과학 - 교육학 (과학으로서의 교육학)

과학으로서의 교육학 19세기 초 헤르바르트가 일반교육을 발표했을 때부터 교육학이 하나의 독립된 과학으로 성립한 것이 통설로 되어 있다. 심지어는 보편타당성(普遍妥當性)을 요구하는 과학으로서의 교육학의 성립을 부정하는 주장, 즉 교육학의 독립성을 부정하는 주장이 아직도 그림자를 감추지 않고 있는 형편이다 교육은 나라에 따라 시대에 따라 저마다 독특한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에 보편적인 과학으로서의 교육학이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그 이전에도 교육에 관한 의견·사상이 오랜 세기에 걸쳐서 문헌상에 나타나 있으며, 그 의견과 사상들이 교육의 개혁에 이바지해 온 것은 사실이지만, 하나의 독립된 과학으로서의 교육학은 아직 성립하지 못하였다. 헤르바르트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교육학자들이 나타나, 제각기 색다..

사회과학 2024.04.12

사회과학 - 언어학의 분야

언어학(linguistics, 言語學)은 사람의 언어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의 기능과 본질을 과학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인간이 가지고 있는 문법과 같은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인 지식을 체계화, 규칙화하는 것에 그 연구 목적이 있다. 인지 및 사회적인 부분도 다루기 때문에 인문학뿐 아니라 사회과학, 자연과학, 인지과학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언어 체계의 분석은 크게 문장의 구조와 규칙에 대한 통사론, 의미론, 단어의 구조에 대한 형태론, 화용론, 음성학, 음운론, 으로 구분한다. 그 외에도 진화 등 생물학적 방법론을 사용하는 생물언어학, 심리학적 요소를 고려한 심리언어학 등의 분과도 존재한다. 언어학은 이론적인 연구와 실용적인 연구를 모두 포함한다. 이론언어학은 언어철학 등 인간 ..

사회과학 2024.04.12

사회과학 - 정치학 (현대 정치학의 발달)

현대 정치학의 발달 20세기까지의 정치학은 역사학이나 철학 또는 법학의 부분에 불과했으며 하나의 독립된 학문으로 공인을 받지 못했다. 1945년도 이후 정치학은 유례없는 발달을 계속하고 세계적으로도 공인된 학문의 성격을 갖게 되었다. 대한민국에서도 해방과 더불어 정치 외교학과 또는 정치학과가 각 대학에 설치되어 정치학을 독립된 학문으로서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정치학의 연구대상 및 방법에 있어서는 물론이고 정치학 자체에 대한 국제적 인식도 2차 대전을 전후해서 크게 달라진다. 정치학을 하나의 독립된 학문으로 인정하고 대학에다 정치학과를 설치하기 시작한 것은 미국이었으며, 미국에서도 19세기 말엽에 이르러 대부분의 대학에서 정치학과를 설치했다. 그 까닭으로 정치학 연구에 있어서 과학기술면에 있어서의 발..

사회과학 2024.04.12

사회과학 - 정치학 (근대 정치학의 성립)

정치학(근대 정치학의 성립) 정치학 정치학(政治學), 또는 정치과학(政治科學, political science)은 주로 국가권력을 행사하거나 자원의 획득, 배분을 둘러싼 또는 권력의 행사에 영향을 미치려는 諸 세력들 간의 갈등과 투쟁 및 타협으로 나타나는 국가현상을 중심으로 정치사상과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사회과학의 고급 분야로 과거부터 왕족과 정치인들이 배우던 최상위의 학문이다. 정치학 혹은 정치과학은 정치에 대한 학문으로, 시대에 따라 연구 관점이 변화하였는데 19세기 이전 고전 정치학은 정치철학이라 하여 철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규범과 윤리와 신학에 대해 연구했다. 1850년-1900년에는 법과 정부 등의 제도를 중점으로 연구하는 학문이었고 1900년-1925년에는 과학을 접목하는 과도기적인 형..

사회과학 2024.04.11

사회과학 - 지리학과 기법

지리학과 기법 지리학(地理學, geography)은 지표 상에서 일어나는 자연 및 인문 현상을 지역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과학의 한 분야이다. 지리를 뜻하는 영어 단어인 geography는 고대 그리스어의 고대 그리스어 γεωγραφία에서 유래하였다. 에라토스테네스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땅을 뜻하는 "η γη" (hê gê)와 기술(記述)을 뜻하는 "γραφειν" (graphein)를 합친 단어다. 지리(地理)라는 용어는 주역에서는 산천의 환경과 형세를 나타내는 말이었고, 구당서, 원사에서는 오늘날의 지리학과 유사한 용례로 쓰였다. 지리학의 관심 대상은 불규칙한 분포이다. 지구에서 발견되는 사물에는 다중성이 존재한다. 사물의 다중성은 공간적으로 불규칙하게 분포한다. 불규칙한 분포가 사물이 지리적인 성..

사회과학 2024.04.11

사회과학 - 지리학의 역사

지리학의 역사 동양의 지리학 혼일강리역대국대지도 한국의 지리학 삼국시대, 혹은 그 이전의 지리학에 대한 직접적인 자료는 한국에 거의 남아있지 않다. 반구대 암각화, 고구려 고분 벽화를 토대로 당시의 지리관을 추측할 수 있을 뿐이다. 신라 말기에 선종 승려들이 중국에서 풍수지리설을 들여왔다. 고려시대에는 김부식의 삼국사기 지리지처럼 지리에 대한 문헌이 남아있다. 이 시대는 풍수지리설이 유행한 시기였다. 서경 천도와 북진 정책의 추진 근거로 풍수지리가 활용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많은 지리지와 지도가 편찬되었다. 태종 때에 만든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는 동양의 세계 지도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이는 중앙 집권과 국방의 강화를 위한 것이었다. 16세기에도 많은 지도가 만들어졌는데, '조선방역지도'가 현존하고 있다..

사회과학 2024.04.11
728x90
반응형
LIST